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PTSD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PTSD 개념
  • · 매우 고통스러운 생활사건이나 외상사건(전쟁, 고문, 자연재해, 사고 등)을 경험한 후 그 사건에 공포감을 느끼고 사건 후에도 계속적인 재경험을 통해 고통을 느끼며 거기서 벗어나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질환으로,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 원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충격적인 사건 자체가 일차적인 원인이지만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한 모두가 이 질환을 경험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생 중 60%의 남자와 50%의 여자가 충격적인 외상을 경험하게 되지만, 실제 이 질환을 겪는 사람은 6~7% 정도입니다. 사건 경험 전의 심리적, 생물학적 사전 요인이 질환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질환 발생과 연관된 위험인자 :
  • - 어렸을 때 경험한 심리적 상처의 존재
  • - 성격 장애나 문제
  • - 부적절한 가족, 동료의 정서적 지원
  • - 여성
  • - 정신과 질환에 취약한 유전적 특성
  • - 최근에 스트레스 많은 삶으로 변화
  • - 과도한 음주
· 생물학적 요인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그리고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기능 등이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증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아래의 증상들이 상호작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사건 발생 1달 후 심지어는 1년 이상 지난 후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1. 침습 증상
(외상의 기억을 생활 속에서 재경험)
2. 회피 증상
(외상의 불쾌한 기억과 감정을 차단하고 회피)
  • · 사건에 대한 기억이 자꾸 떠오르고 꿈에서도 나타나 괴롭다.
  • · 외상적 사건이 다시 일어나는 것처럼 행동하고 느낀다.
  • · 그 사건이 회상되거나, 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단서를 접하면 심리적 으로 매우 고통스럽고, 땀이 나거나 심장이 뛰는 등의 생리적 반응을 보인다.
  • · 외상과 연관된 생각, 느낌, 대화를 피하려고 한다.
  • · 외상을 다시 생각나게 하는 활동, 장소, 사람들을 피하려고 한다.
3. 인지와 기분의 부정적 변화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 감정의 지속)
4. 지나친 각성 증상
(항상 위험에 처한 것처럼 느껴 경계하게 됨)
  • · 외상의 중요한 부분을 회상할 수 없다.
  • · 자신이나 타인, 주변에 대해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믿음을 갖는다.
  • · 외상의 원인이나 결과에 대해 왜곡되게 자신 혹은 타인을 비난하는 인식이 지속된다.
  • · 지속적으로 공포나, 분노, 죄책감, 수치심과 같은 부정적 감정 상태를 느낀다.
  • · 중요한 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현저히 줄어든다.
  • · 다른 사람과 거리감이 생긴다.
  • · 행복, 만족, 사랑 등의 긍정적 감정을 느끼기 어렵다.
  • · 잠이 들거나 잠을 유지하기 힘들다.
  • · 신경이 날카로워지고 화를 잘 낸다.
  • · 집중하기가 어렵다.
  • · 위험하지 않을까 지나치게 주변을 살핀다.
  • · 잘 놀란다.
  • * 기타 : 해리현상, 공황발작, 환청 등의 지각이상, 공격적 성향, 충동조절의 어려움, 우울증, 집중력 감소, 기억력 저하 등과 같은 증상들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 치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아래의 증상들이 상호작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사건 발생 1달 후 심지어는 1년 이상 지난 후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약물요법
  •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SRI) 계통의 치료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인지행동 치료
  • · 현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정신치료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1) 인지치료 : 사건에 대한 어떤 생각이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증상을 악화시키는지 이해하고 이러한 생각을 더 정확하고 편안한 방향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익히게 됩니다. 또한 사고 이후 어쩔 수 없었던 일들에 대해 불필요한 죄책감을 느끼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 2) 노출치료 : 사고기억에 대해 공포를 덜 느끼도록 도와주는 치료입니다. 과거 외상으로부터 받은 생각, 느낌, 상황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를 역으로 되돌려 사고에 대해 편안한 감정을 느끼도록 학습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