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조현병
조현병의 개념
  • · 조현(調絃), 현악기의 줄을 고른다는 뜻. 뇌의 신경구조 이상으로 마치 현악기가 제대로 조율되지 않은 것처럼 혼란을 겪는 상태를 말합니다. 전에는 정신분열병이라고 불렸으며 망상, 환각, 와해된(이해할 수 없는) 언어, 정서적 둔마 등의 증상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입니다.
- 원인
  • · 조현병의 발생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으나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 남자 환자는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 여자 환자의 경우는 20대 중반에서 30대 초반이 많습니다. 사춘기 이전에 발병하는 경우는 상당히 드물며 45세 이후에 발병하는 경우도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
  • · 부모 중 한 명이 조현병에 걸린 경우 자녀가 발병할 확률은 10~12% 정도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단순히 ‘유전이 된다, 아니다’로 간단히 설명할 수 없습니다. 키, 몸무게, 얼굴 생김새, 지능 등이 부모로 부터의 유전뿐만 아니라 기타 영양 섭취나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듯이 조현병의 발병도 유전적 측면 과 환경적 측면 둘 다 작용할 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신경생물학적 요인
  • · 뇌 안에 있는 신경전달 물질은 두뇌 속 세포들이 서로 소통하고 연결되도록 하여 생각이나 감정, 행동 들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물질들 사이의 불균형(도파민 증가, 세로토닌 저하 등)이 발생하면 조현병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
  • · 스트레스에 취약한 사람은 살아가면서 다른 정상인에 비해 학업, 대인관계, 업무 등 환경적인 스트레스를 잘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조현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과로, 가까운 사람의 죽음, 사고 등으로 인한 정신적 충격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증상
  • · 남자 환자는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 여자 환자의 경우는 20대 중반에서 30대 초반이 많습니다. 사춘기 이전에 발병하는 경우는 상당히 드물며 45세 이후에 발병하는 경우도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초기 경고증상
  • · 갑자기 혼잣말을 하거나 웃음
  • · 집중력이 저하됨
  • · 감정기복이 심함
  • · 대인관계를 기피하고 혼자 있으려함
  • · 예민해지고 스킨십을 피함
  • · 위생상태가 지저분해짐
  • · 활동이 지나치게 많아지거나 감소함
양성 증상

겉으로 드러나는 비정상적이고 괴이한 증상, 건강한 사람에게서는 발견할 수 없는 정신병적 증상을 의미합니다.

  • ① 환각 : 외부로부터 자극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보고, 듣고, 냄새를 맡거나 느끼게 되는 경험을 말합니다. 이 중 환청이 조현병의 대표적 증상입니다.
    • - 환청 : 누군가가 나에게 욕을 해요
    • - 환시 : 아무것도 없는데 무언가가(동물, 불빛, 사람 등) 보이고 느껴져요
  • ② 망상 : 사실과 다르며 논리와 이성으로 설명되지 못하는 잘못된 믿음을 뜻 합니다.
    • - 피해망상 : 자신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피해를 받는다는 내용(예 : 감시나 도청)
    • - 관계망상 : 자신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이 관계가 있다고 잘못 믿는 것
    • - 과대망상 : 자신이 위대한 사람이라거나 종교적 인물(선지자나 예수), 스타가 되었다고 잘못된 믿음을 가지는 것
  • ③ 와해된 말과 행동
    • - 엉뚱한 소리를 하거나 횡설수설하는 현상을 보인다.
    • - 질문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대답을 한다.
    • - 대화 도중 생각의 진행이 되지 않아 갑자기 아무 말도 없이 가만히 있는다.
    • - 외양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계절에 맞지 않는 옷을 입고 다닌다.
음성증상

정상적인 감정반응이나 행동이 감소하여 둔한 상태가 되고, 사고 내용이 빈곤해지며, 의욕 감퇴, 사회적 위축 등을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 ① 사회적 위축 : 대인관계를 기피하며 혼자 있으려고 하며 가족들과의 대화도 피하려 함
  • ② 정서적 둔마 : 어떤 상황에서도 무표정하고 반응을 거의 보이지 않음
  • ③ 무기력 : 시선접촉 및 언어 사용 빈도수가 감소하며 일이나 사회적 활동에 전혀 관심이 없음
- 치료
  • · 약물 치료 : 항정신병약물은 정신과 치료 중 가장 기본적이면서 필수적인 것입니다. 약물의 종류, 복용기간 등은 환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전문의 와의 상담을 통해 꾸준히 일정기간 이상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 심리사회적 치료 : 약물치료와 더불어 심리사회적 재활훈련을 통해 회복을 돕고 사회생활을 할 수 있게 하며 재발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입니다.
  • · 인지치료 : 환청과 망상으로부터 적절하게 대응하는 법, 치료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법 등 행동과 생각을 올바른 방향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사회적 행동이나 자기표현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